본문 바로가기
2022 교육/수학

2학년 수학 5. 분류하기 - 분류하여 숫자 세기

by 졔졔-408 2022. 6. 9.
728x90
반응형

<수업 계획>
(도입) 동물의 특징 말해보기
(전개)
활동 1. 동물을 분류하여 세어보기
- 기준 전하기, 교사와 함께 분류하기, 수 세기
※유의점: 빼놓고 적지 않도록 모든 동물을 썼는지 꼭 확인하도록 하기.
활동 2. 장난감을 분류하여 세어보기
- 빼놓고 세지 않기 위해 √, /, ○, × 등 표시를 하며 세도록 유도한다.
활동 2. 수학 익힘책을 풀며 스스로 해보기
(마무리) 다음 차시 안내: 분류한 결과 말하기

<실제 수업>

(도입)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 점검 및 앞으로 배워야 할 내용 간략하게 복습, 소개하기 
 분류하기 단원은 
1. 기준을 세운다. 
2. 분류를 한다. 
3. 분류하여 숫자를 센다 < 오늘 할 것!!
4. 분류한 결과를 말한다. < 다음 주에 할 것!
으로 소개하였다. 
 

(전개) 동물 분류하여 보기. 

먼저, 다리의 숫자로 분류하고, 두 번째 분류를 할 때는 한 반은 주로 서식하는 곳(새는 하늘로 넣었다.), 두 번째 반은

새끼를 낳는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 기준: 새끼를 낳는 방법
새끼를 낳는
방법
알을 낳음 새끼를 낳음
동물 이름 독수리, 흰동가리
앵무새, 뱀, 참새,
달팽이, 비단잉어
코끼리, 말,
돌고래, 기린,
호랑이
동물의 수
(마리)
7
5

 

더 여러개로 나누고 싶어 하는 학생들도 많았다. 옆에 한 칸이 남는다는 학생들에게는 꼭 모든 칸을 채워야 하는 것은 아님을 알려주었다. 

뒤쪽에는 직접 칸을 그리는 부분도 있었는데, 역시나 이 부분(칸을 개수에 맞게 나누는 부분)을 학생들이 힘들어하였다. 

 

위에 있는 동물과 같이 이름이 있거나 열로 되어 있으면 이름을 쓰면 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표시 를 하며 세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조사한 자료를 셀 때, 자료를 빠뜨리지 않고 모두 세기 위해서 센 것에는 ∨, O, X 등의 다양한 기호로 표시하여 센다.
 

 

이런 식으로 내가 센 것에 표시를 해놔야 잊어버리지 않고 내가 센 것과 세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류한 후 숫자 세기에서 주로 틀리는 이유는 제대로 세지 않아서 생기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분류하여 숫자로 센 장점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는데, 
- 한 눈에 몇개 인지 알 수 있다. 
- 나중에 가지고 놀려고 할 때 갯 수를 알 수 있어 편하다. 등의 의견이 나왔다. 
한 가지에 국한 시키기보다 학생들의 여러 의견을 다 들어주면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