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가 비슷한 단어8 221107 받아쓰기 8회(2학기) - 마지막 ***받아쓰기는 (주)미래엔 을 가지고 만들고, 학습하는 중이다. 8단계 –던지/-든지, -예요/-이에요, -였다/-이었다. 1 나 는 사 과 든 지 배 든 지 다 2 얼 마 나 덥 던 지 땀 이 3 공 부 를 하 든 지 놀 든 지 4 궁 궐 이 얼 마 나 넓 던 지 5 제 이 름 은 박 선 영 이 에 요 . 6 이 것 은 지 우 개 예 요 . 7 그 사 람 은 정 말 천 재 였 다 . 8 오 빠 도 새 로 남 학 생 이 었 다 . 9 노 란 꽃 은 바 로 민 들 레 였 다 . 10 참 외 는 과 일 이 에 요 . '-든지'는 혼자 쓰이지 않는다. 꼭 2번씩 쓰인다. '-던지'는 과거에 있었던 일에 대해 쓴다. 예) 얼마나 덥던지...(현재 더운 것이 아님. ) '-이에요, -이었다'는 받침이 있는 다음.. 2022. 11. 8. 221031 받아쓰기 7회(2학기) ***받아쓰기는 (주)미래엔 을 가지고 만들고, 학습하는 중이다. 7단계 –로서/-로써, 대로/-데로 1 친 한 친 구 로 서 충 고 하 는 거 야 2 대 화 로 써 문 제 를 해 결 해 요 . 3 아 빠 는 가 장 으 로 서 최 선 을 4 오 늘 로 써 한 달 이 되 었 다 . 5 학 교 가 끝 나 는 대 로 6 집 에 도 착 하 는 대 로 전 화 해 ! 7 시 원 한 데 로 가 자 . 8 물 은 높 은 데 서 낮 은 데 로 9 생 각 나 는 대 로 이 야 기 해 보 기 10 좋 은 데 로 놀 러 가 자 ! 한 주 띄고 받아쓰기 하다보니 숙제는 지난 주에, 시험은 이번 주에 봐서 시험에 틀린 학생이 많았다. '로서/로써'는 '-로서'는 사람이나 지위를 나타낼 때 사용하고 '-로써'는 물건을 나타내거나 .. 2022. 11. 1. 221017 받아쓰기 6회(2학기) ***받아쓰기는 (주)미래엔 을 가지고 만들고, 학습하는 중이다. 6단계 윗-/웃, 없다/업다/엎다 1 아 래 층 에 서 윗 층 으 로 2 윗 도 리 와 아 랫 도 리 3 웃 풍 이 불 어 추 웠 습 니 다 . 4 웃 어 른 께 인 사 를 합 니 다 . 5 동 생 을 등 에 업 었 다 . 6 실 패 가 없 는 성 공 은 없 다 . 7 국 그 릇 을 엎 어 서 국 을 쏟 았 다 8 감 기 에 걸 린 적 이 없 다 . 9 포 대 기 로 아 기 를 업 었 다 . 10 그 릇 을 씻 어 엎 어 두 었 다 . 윗-/웃- 을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아래가 있으면 '윗-', 아래가 없으면 '웃-'이라고 알려주었는데, 윗과 웃 자리에 아래를 넣어 보았을 때 말이 되면 윗, 말이 안되면 웃이다. 예를들어 아래층이 있기 때문.. 2022. 10. 17. 221011 받아쓰기 5회(2학기) ***받아쓰기는 (주)미래엔 을 가지고 만들고, 학습하는 중이다. 5단계 왠-/웬, 며칠, 알맞은 1 오 늘 은 왠 지 좋 은 일 이 2 이 게 웬 일 이 야 ? 3 나 는 왠 지 민 수 가 좋 다 . 4 웬 눈 이 이 렇 게 내 려 ? 5 오 늘 이 며 칠 이 에 요 ? 6 운 동 하 기 에 알 맞 은 날 씨 7 네 입 맛 에 딱 맞 는 음 식 8 며 칠 만 에 집 에 돌 아 왔 다 . 9 다 했 나 했 더 니 , 웬 걸 ? 10 자 신 에 게 맞 는 방 법 *웬만하면 다 웬을 쓴다. 왠지는 = 왜 그런지 라고 바꾸어 쓸 수 있을 때만 '왠'을 써야 한다. 라고 학생들에게 알려주어도 여전히 헷갈려 했다. 소리도 비슷하고, 평소에 많이 쓰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힘들어 하는 학생들이 있었다. 헷갈려 하는 .. 2022. 10. 12. 221004 받아쓰기 4회(2학기) ***받아쓰기는 (주)미래엔 을 가지고 만들고, 학습하는 중이다. 4단계 맡다/맞다, 섞다/썩다, 갖다/같다/갔다 1 맡 은 일 에 최 선 을 다 하 자 . 2 1 0 0 점 을 맞 았 다 . 3 허 락 을 맡 고 놀 러 가 야 지 4 송 편 을 빚 으 며 추 석 을 맞 았 다 5 퇴 비 썩 는 냄 새 6 빨 간 색 과 노 란 색 을 섞 어 7 우 산 갖 고 왔 어 ? 8 나 와 친 구 의 키 가 같 다 . 9 학 교 에 갔 다 . 10 비 가 올 것 같 다 . 이번 받아쓰기가 쉬웠는지, 학생들이 다 잘 보았다. 받아쓰기 형태가 너무 쉬웠나... 고민 중이기도 하다. 그래도 틀린 게 있다면, 3. 허락을 맡고 놀러가야지. 에서 가장 많은 학생이 오답을 썼다. '맡고'를 '맞고', '맛고', '맏고' 등으.. 2022. 10. 5. 220926 받아쓰기 3회(2학기) ***받아쓰기는 (주)미래엔 을 가지고 만들고, 학습하는 중이다. 3단계 낳다/낫다/낮다/짓다/짖다/짚다/집다 1 고 래 가 새 끼 를 낳 았 다 . 2 네 가 나 보 다 낫 다 . 3 오 늘 오 른 산 은 낮 다 . 4 친 구 와 이 야 기 를 지 었 다 . 5 까 치 가 깍 깍 짖 는 다 . 6 집 게 로 집 어 7 다 쳐 서 목 발 을 짚 었 다 . 8 나 무 집 을 짓 다 . 9 지 팡 이 를 짚 은 노 인 10 감 기 가 잘 낫 지 않 는 다 . 지난 회차에서 시험을 못 본 학생이 많아서인지 공부를 조금 더 해 온 느낌이었다. 아니면 지난번 것보다 쉬웠던 걸까...? 이번에 많이 틀린 부분은 짚다와 집다.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 집다. 땅을 누르는 것이 짚다. 로 알려주었는데, 역시나 헷갈려하.. 2022. 9. 26.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