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 교육/재량

학교 폭력 예방 교육: 공감하기

by 졔졔-408 2022. 4. 8.
728x90
반응형

  학교 폭력은 친구의 마음에 공감하지 못할 때 생긴다.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절대로 다른 사람에게 모질 수 없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학년을 가르칠 때 키워드는 항상 공감이다. 2학년 학생들은 이제 정말로 책 '데미안'에 나오는 이야기처럼 알을 깨고 나오기 때문이다. 자기중심적인 세상에서 친구와 함께 있는 세상 밖으로 나와 우리 아이들은 정말 많은 고민과 싸움과 슬픔을 겪는다. 그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성장한다. 

 

수업계획

목표:다른 사람의 표정이나 행동을 통해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힘 기르기

활동1(도입). 표정 읽기

활동 2. 공감 표현하기

활동 3. 표정 그리기

마무리.

 

활동 1. 표정 읽기

웃는 표정
놀란 표정

이런 여러 표정들을 보여주며 표정 읽기 놀이를 해본다. 학생들의 마스크가 없어진다면 서로의 표정으로 직접 보여주면 더욱 재미있다. 

 

활동 2. 공감 표현하기

[1차시 활동자료].hwp
2.53MB

활동지를 통해 자신이 겪은 상황 1개를 써본다. 모두 쓴 이후에는 공감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운다. 

- 말로 표현하기: 그랬구나, 힘들어겠다. 재미있었겠다, 슬펐겠다, 나도 그런 적 있어. 등. 말로 공감 표현하기

- 표정과 동작으로 표현하기: 고개 끄덕이기, 눈 맞추기, 경청하기

짝과 돌아가며 한 명이 말하고 공감을 표현해 보는 활동을 한다. 이후, 학생들 중 1-2명의 지원자를 받아 역할 놀이를 하는데, 한 번은 모두 다른 행동을 하는 상황에서 발표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번은 모두 집중하는 상황에서 발표하기를 해본다. 모든 학생들이 집중하는 상황이 더 좋았다고 이야기한다. 

 

활동 3. 표정 그리기

  활동지에 있는 표정 그리기 활동을 한다. 

 

활동을 해본 후: 

  학생들이 활동을 하며, 공감을 받을 때의 기분과 공감을 못 받을 때의 기분을 느껴보도록 하였다. 옆의 짝과 한 후에 몇몇 학생이 발표를 해보고 직접 기분을 설명하게 해 보았는데, 다들 공감을 받을 때가 더 기분이 좋다고 말하였다.

  그 후에 여유분의 활동인 표정 그리기를 해보았다. 추가로 칠판으로 나와서 그리도록 해주었는데, 학생들이 재미있게 그리고 설명을 해서 집중도도 높았고, 공감을 바로 보여주는 것을 실천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이번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경청과 공감을 배우길 소망하며 수업을 하였고, 나름의 효과를 본 것 같아서 기뻤다. 바로 다음에 전담시간이 이었는데, 이전과 태도가 확연히 다름을 볼 수 있었다. 학생들이 배운 대로 선생님을 바라보며 수업을 들었고, 친구들이 발표를 하면 고개를 끄덕이거나 박수를 잘 쳤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