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 교육/수학

2학년 수학 1. 네 자리 수_뛰어 세어 볼까요

by 졔졔-408 2022. 9. 4.
728x90
반응형

<수업계획>
*학생들 중 수 개념이 덜 발달한 학생들 잘 살펴보기.
(도입) 뛰어 뛰어 내 자리
시작 숫자는 교사가 부르고 순서에 따라 뛰어 세기를 한다. 10씩 혹은 1씩 뛰어 세다가 교사가 종을 1번 치면 순서가 반대로 바뀌게 된다.
조별로 먼저 해보고, 교실 전체로 확대하여 뛰어 세기 놀이를 한다.
(전개)
활동 1. 수학책 20-21쪽
- 1000, 100, 10, 1씩 뛰어 세기
- 뛰어 셀 때 천, 백, 십, 일의 자리 수는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기
활동 2. 수학 익힘 14-15쪽
- 2번 문제는 교사와 함께 풀어보며 뛰어 세기 개념 점검하기
(마무리) 수학 익힘 정답 맞히기

 
 
<실제 수업>
학생들과 뛰어 세기를 해보며 수업을 시작하였다. 한 번은 교사가 학생들이 뛰어 세는 수를 모두 다 칠판에 쓰며 뛰어세기를 하고, 두 번째는 글씨 없이 뛰어세기를 한다. 수 개념의 발달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수 개념이 아예 정립이 안된 학생들은 1씩 뛰어세도 힘들어하고 교사가 적어주어도 힘들어 한다. 
대체적으로는 적어줄때는 잘 뛰어 세다가 글자가 없어지면 머릿속으로 생각해야 하다보니 힘들어 한다.
수 개념이 완전히 잡힌 학생들은 글씨가 있든 없든 상관이 없고, 190 다음에 10뛰어세서 200으로 넘어가는 것을 힘들어 하지 않는다. 수 개념이 약한 학생들은 190 다음에 10을 뛰어 세어도 1000이라고 말하는 학생들이 있다. 

1000씩 뛰어 세는 것 자체는 어려워하지 않았다. 특히 수학책의 위의 그림과 같이 할 때는 오히려 쉽게 하는 편이었다.

그림이 없어지고, 추론하여하는 문제에서는 자꾸 다른 부분까지 뛰어 세는 학생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6347까지는 제대로 쓰고, 그다음에 6457로 가는 식이었다. 많은 학생이 아닌 몇몇 학생이라 지속적으로 지켜보며 잡아주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