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 교육/수학

2학년 수학 1. 네 자리 수_ 마무리 활동_시장놀이

by 졔졔-408 2022. 9. 16.
728x90
반응형

<수업 계획>

네 자릿수 시장놀이

*준비물 : 각 단위별 장난감 돈(1000원, 500, 100, 10, 50원, 1원), 가격표, 가격표 모음 활동지, 교환할 물건(교사와 학생이 준비), 개인별 봉투에 돈 분배하여 넣어놓기

<활동 순서>

1) 물건

-각 모둠에서 가져온 물건과 교사가 준비한 물건을 합친 후 1인당 4가지의 물품을 팔 수 있도록 진열하기. 그럼 한 모둠이 16가지의 물건을 팔게 됨. 낱개로 된 물건은 묶어서 한 가지로 만듦.

2) 가격표: 가격표에 1000, 2000원 과 같이 가격을 그대로 적지 않고 아이들이 배운 내용을 가지고 문제를 만들어 가격표에 적는 방식으로 한다. ) 10003, 100이 22 인수라고 적으면 그 물건의 가격은 3200원이 됨.

1인당 4개의 가격표를 만든다. 가격표 예시는 교사가 칠판에 제시해 둔다.(: 3,4, 1, 0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네 자릿수, 10200인 수 , 두 수중 더 큰 수 등)

3) 두, 구매자 역할을 하며 시장놀이 진행하기, 이때 규칙은 반드시 서로 존댓말을 사용하며 예의를 갖추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해 주기

4) 자신이

 

<실제 수업>

물건은 미리 학생들이 기부하여 가져오게 하였다. 집에 많아서 사용하지 않거나 재미있게 가지고 놀았으나 더 이상 가지고 놀지 않는 것들을 가져오게 하였는데, 

기부에서 뺀 물품은 1. 옷이나 신발

2. 너무 낡은 물건

이었다. 생각보다 학생들이 옷이나 신발은 사지 않기 때문에 뻈고, 주로 학용품, 장난감, 책으로 가지고 오도록 권면. 

3-4일에 걸쳐 물건을 모은 후, 시장 놀이를 시작한다. 

학생들의 참여가 아주 중요한 만큼 학생들에게 많이 가져오면 살 수 있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을 미리 말해둔다. 

시장 놀이의 첫 단계는 물건 나누기이다. 자기 물품을 자기가 팔아도 좋지만, 그렇게 되면 안 가져온 학생들은 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교사가 랜덤으로 나누어준다. 

두 번째는 물건에 가격 붙이기이다. 가격은 가격표 활동지에 적게 하는데 네 자릿수를 직접 적기보다 아이들이 배운 내용을 가지고 문제를 만들어 가격표에 적는 방식으로 한다. 예) 1000 3, 100 22 인수라고 적으면 그 물건의 가격은 3200원이 됨.

이번 최고가는 3666원으로 제한하였다. 장난감 돈을  1원짜리까지 만들어 1000원 5개, 500원 3개, 100원 5개, 50원 3개, 10원 5개, 1원 10개로 주었기 때문이다. 장난감 돈이 많다면 더 줘도 좋다. 그러면 학생들이 가격표를 좀 더 다양하게 적을 수 있다. 

시장놀이 가격표 정리 활동지.hwp
0.03MB
시장놀이 가격표.hwp
0.09MB

시장놀이를 재미있게 한 후 정리 활동지에 정리하고 시장 놀이를 마쳤다. 학생들은 새로운 물품을 가져서 기분이 좋고, 네 자릿수를 즐겁게 공부해서 좋고, 복습에 굉장히 좋은 활동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