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 교육/수학

2학년 수학 3. 길이재기_ 걸리버의 어항 만들기/1m

by 졔졔-408 2022. 11. 4.
728x90
반응형

<수업 계획>

걸리버의 어항 만들기 대작전

1m의 길이를 이해하고 100cm=1m 임을 10 cm 작은 물고기와 1m 큰 물고기를 사용하여 재어 알아보기

긴자, 줄자의 필요성 알아보기

 
<실제 수업>
부직포로 1m 크기의 물고기를 조별로 사용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고, 학생들이 사용할 작은 물고기도 만들어 놓는다. 

 

한 조가 받게 되는 것은 길이별 작은 물고기 5마리와 큰 물고기 한 마리, 15cm 자 한 개다. 

스토리텔링: 우리나라에 걸리버가 찾아왔어요. 걸리버는 정말 큰 사람이에요. 저희 소인국에 몇 번이나 다녀간 사람이죠 그 걸리버가 오늘은 우리에게 부탁을 하네요. "멋진 친구들, 내 부탁을 들어줘! 이 물고기에게 맞는 어항을 만들어 주고 싶어. 물고기의 길이를 알려줄 수 있을까?" 자, 우리 물고기의 길이를 재어 걸리버에게 알려줄까요?

학생들은 1학기 때 배운 것을 복습하며 작은 물고기 크기를 재어보고 활동지에 기록한다. 올해는 활동지 없이 바로 교사에게 발표하는 것으로 바꾸어 활동을 했다. 

자가 없는 상태에서 작은 물고기들을 이용하여 큰 물고기의 크기를 재어본다. 큰 물고기가 10cm짜리 물고기로 10번이라는 것을 알아내고 큰 물고기가 100cm라는 것을 이야기해본다. 

그런 후, 사람들이 이렇게 큰 단위를 m로 약속했다는 것을 알려주고, 100cm가 1m 임을 말해주며 1m짜리 큰 자를 사용해 실제적으로 물고기를 재어 보여준다. 

긴자, 줄자를 왜 사용하게 되었을지 학생들과 이야기해본 후,

걸리버에게 편지 쓰기를 해보았다. 간단하게 "걸리버, 물고기의 크기는 1m, 즉 100cm야. 어항은 그것보다 커야 할 것 같아!"라고 쓸 수 있도록 지도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1m보다 긴 단위를 어떻게 쓰는지 이야기해보고 퀴즈 몇 가지(1 m20 cm=120cm 등으로 단위를 바꾸는 퀴즈)를 하고 수업을 마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