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계획>
(도입) ‘ 괜찮아’ 읽어 주기
– 읽기 전, 중, 후 활동
(전개) 활동 1. 칭찬하는 말을 할 때 주의할 점 알기
활동 2. 대답하는 말을 하는 방법 알기
활동 3. 짝과 함께 칭찬하는 말과 대답하는 말 주고받기
활동 4. 국어 활동 83-84쪽
(마무리) 앞으로 칭찬하기 다짐하기

읽으면서는 어떤 장점일지 추측해보기를 해보았다.
다른 사람의 장점은 바로 칭찬해줄 거리가 된다고 이야기하며, 수업을 시작.
칭찬하는 말을 할 때 앞에 나온 단점을 함께 말하면 칭찬으로 들릴지 생각해보았다. 또한 칭찬하는 말을 할 때의 태도와 말투, 억양을 조심해야 함을 알려주었다.
칭찬하는 말을 할 때 주의 할 점.
1. 단점(잘못한 점)과 함께 이야기하지 않는다.
-너는 시끄럽지만 발표를 잘해. 라고 하면 칭찬같이 느껴지지 않는다.
2. 진심을 담아 이야기 한다.
- (딴곳을 보며) 너는 글씨를 잘 써.라고 한다면, 진심 같지 않다. 말을 할 때는 비 언어적 표현을 통해 진심을 담아내야 한다.
3. 너무 과장되게 말하지 않는다.
- 네가 우주에서 제일 노래를 잘해! 물론, 기분이 좋을 수도 있지만, 비꼬는 것처럼 들릴 수도 있다.
주의할 점과 함께 칭찬은 구체적으로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예를 들어 "너는 그림을 잘 그려." 라는 칭찬도 기분이 좋겠지만, "색깔 선택을 잘하는구나. 여기 초록색이 아주 멋있어." 라던가, "몇 시간 동안 그리던 그림이지? 열심히 노력해서 완성하는 모습이 멋지다." 등 상황과 칭찬을 구체적으로 말할수록 진정성이 느껴지고 칭찬의 효과는 배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을 칭찬할 때도 가능한 구체적으로 칭찬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과서에 나온대로 칭찬에 대한 대답 방법을 배워보았는데,
생각보다 이것이 중요한 것이 칭찬을 받으면 뭐라고 해야 할지 몰라 굳는 학생들이 있기 때문이다. 자동적으로라도 나오도록 연습이 중요하다.
칭찬에 대한 대답으로는
1. 고마움 표시하기
- 칭찬해줘서 고마워.
2. 함께 칭찬하기
- 너도 000걸 잘하잖아. 부러워.
3. 겸손하게 대답하기.
- 함께 열심히 하자.
세 가지 정도가 된다. 세 가지를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짧은 역할극을 돌아가며 해보고 수업을 마무리하였다. 다음 시간에는 칭찬 쪽지와 칭찬 상장을 만들어 볼 계획.
'2022 교육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11 받아쓰기 5회(2학기) (1) | 2022.10.12 |
---|---|
2학년 국어 10. 칭찬하는 말을 주고 받아요_칭찬 쪽지 쓰기/칭찬 상장 만들기 (0) | 2022.10.09 |
221004 받아쓰기 4회(2학기) (1) | 2022.10.05 |
2학년 국어 10. 칭찬하는 말을 주고 받아요_칭찬하는 말을 하거나 들었던 경험을 나눌 수 있다. (0) | 2022.10.02 |
2학년 국어 10. 칭찬하는 말을 주고 받아요_칭찬하는 말의 좋은 점 (0) | 2022.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