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업계획>
(도입) 스토리텔링(지도서 230쪽)
질문 1. 길이를 재었던 경험을 이야기해보기
질문 2. 그림(교과서 88쪽)에서 길이를 비교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기
(전개) 활동 1. 뼘에 대해 알아보자.
- 뼘으로 재니까 어떤지 말해보기
활동2. 여러 가지 물건으로 수학책의 짧은 쪽의 길이 재기
- 연필, 지우개, 딱풀로 통일시키기. 먼저 예상을 쓰고, 그 후에 재어보도록 안내하기
- 예상과 다른 이유 찾아보기, 물건마다 횟수가 다른 이유 알아보기.
활동3. 여러 가지 단위로 책상 긴 쪽의 길이 재기
- 뼘, 연필, 딱풀로 통일시키기.
- 먼저 예상을 쓰고, 그 후에 재어보도록 안내하기
- 예상과 다른 이유 찾아보기, 물건마다 횟수가 다른 이유 알아보기.
(마무리)
수학책의 짧은 쪽을 잴 때 편했던 물건은 무엇인가요?
교실 뒤편을 재려고 합니다. 무엇으로 재면 편할까요?
재려는 물건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물건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린다.
<실제수업>
길이재기에서 중요한 것은 길이를 재는 능력도 맞지만, 그 단위가 왜 생겼고, 왜 통일하게 되었는지를 알게 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내용을 다뤄줄 수 있는 차시가 이번 차시이기 때문에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학생들과 단위가 생기게 된 이유를 알아보았다.
사용한 스토리텔링은 천재교육 지도서에 있는 수학 책 속 그림의 스토리 텔링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대신 인물에 우리 반 학생들을 넣어 재미있게 만들어 주었다.
첫번째 단위로 언급되는 것은 뼘이다.
뼘의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잴 수 있다. 기준을 오른손에 두는 것만 이야기한 후, 편한 손가락으로 쓰라고 하였다. 보통은 검지나 새끼손가락을 많이 사용하였다.
중요! 똑같은 길이를 잴 때 단위의 길이가 길수록 재는 횟수가 적어진다. 생각 외로 이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실재로 해보고 있는데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하여 학생들이 이번 차시에 꼭 이해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각 물건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단위가 다름에 대해 알아보기도 하였다.
학생들이 단위로 물건을 잴때는 절대로 정확하게 나오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6번이나 7번 모두 맞아요.' 처럼 조금 융통성을 두는 것도 중요하다.
길이재기에는 나중에 어림하기가 나온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첫 차시에 바르게 잡히지 않으면 어림하기를 어림하기가 아닌 자로 재기로 바꾸어 버린다. 첫 차시에 어림해보라고 할때 나중에 재고 나서 고치는 학생들은 고치지 않도록 이야기 해두자.
반응형
'2022 교육 >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년 수학 4. 길이 재기 - 자 사용법(1) (0) | 2022.05.25 |
---|---|
2학년 수학 4. 길이 재기 - cm(센티미터) (0) | 2022.05.24 |
2학년 수학 3. 덧셈과 뺄셈 - 얼마나 알고 있나요 (0) | 2022.05.23 |
2학년 수학 3. 덧셈과 뺄셈 - 세 수의 계산 (0) | 2022.05.12 |
2학년 수학 3. 덧셈과 뺄셈 - 어떤 수 ㅁ를 넣은 식 (0) | 2022.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