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업 계획>
(도입) 어떤 물건일까요? (교사가 생각한 물건 설명하고 맞추기)
(전개)
활동1. 물건을 설명하는 상황 확인하기
- 교과서 148-149쪽을 통해 물건을 설명하는 상황을 알아본다.
- 자신의 비슷한 경험을 이야기해본다..
활동2. 물건을 잘 설명해야 하는 까닭 알기
- 교과서 150쪽. 상황 비교를 통해 물건을 잘 설명했을 때 일어나는 일을 알아본다.
- 물건을 잘 설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색깔, 모양 등을 자세히 말한다)
(마무리) 옆 친구와 물건을 소개하는 게임
<실제 수업>
책에 있는 그대로 진행하는데, 내가 짠 수업 그리고 한 수업에서 재미있는 부분은(학생들이 즐거워한 부분은) 마지막 마무리인 친구와 물건 소개하기 게임하기 이다.
물건을 설명할 때는 물건의 특징을 설명해야 한다.
특징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른 것과 비교하여) 특별히 눈에 띄는 점
이라고 나온다.
물건의 특징은 색깔, 모양(생김새), 사용 방법, 사용 주기, 가격, 사용 목적 등등이 된다.
마지막 게임은 바로 이 특징을 가지고 하는 게임이다.
3가지 특징을 설명하면 옆에 친구들이 그 특징만 듣고 물건을 맞추는 것이다.
이렇게 듣기만 하면, 그게 재미있나?

싶지만 우리 학생들은 엄청 열정적으로 한다.
이 게임을 통해 학생들은 특징이 무엇인지, 앞으로 글을 쓸 때 어떤 점에 대해서 써야하는지 직감적으로 알게된다. 이 부분을 이야기 하면 친구가 바로 그 물건인 것을 알게 되는 것. 그게 특징이기 때문이다.
교사가 문제를 낼 때는 다른 물건에도 있는 특징을 말하여 학생들이 헷갈리게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시계를 설명하면서,
1. 눈금이 있어요.
2. 숫자가 써 있어요.
3. 요즘에는 주로 플라스틱과 철로 만들어 져요.
라고 하면 학생들은 얼마 전에 길이재기를 하며 사용한 자를 먼저 떠올리게 된다. 이렇게 다른 답을 유도하다가
4. 이 물건은 시간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해요. 가 나오는 순간, 모든 학생이 시계가 답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 학생들은 답을 맞추게 하려면 어떤 것(특징)을 이야기 해야하는지 배우게 된다.
아무런 준비도 없이 학생들과 할 수 있는 놀이라서 강력 추천한다.
반응형
'2022 교육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년 국어 9. 생각을 생생하게 나타내요. - 주요 내용을 확인해요(탐정 놀이) (0) | 2022.06.13 |
---|---|
2학년 국어 7. 친구들에게 알려요. - 주요 내용을 확인해요(탐정놀이) (0) | 2022.06.10 |
2학년 국어 6. 차례대로 말해요 - 미래 일기 쓰기 (0) | 2022.06.09 |
220530 받아쓰기 12회차 (0) | 2022.06.07 |
2학년 국어 6. 차례대로 말해요 - 겪은 일을 차례대로 써요. (0) | 2022.06.03 |
댓글